저자 김은영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미디어라이브 - 저자: 전남고 김은영 교사 등 - 연구주제: 미디어를 올바로 읽는 눈, 세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눈, 나의 세상을 빛나게 이끌어가는 눈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저자 이성철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미디어교육 체커톤 운영위원회 - 저자: 주감초 이성철 교사 등 - 연구주제: 청소년 체커톤 행사 운영 및 팩트체크 자료 개발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저자 송주신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빅카인즈 플러스 - 저자: 중대초 송주신 교사 등 - 연구주제: 세계를 읽는 새로운 방법 빅카인즈를 활용한 수업사례 개발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2019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자료집 ○ 많은 분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 2019 미디어교육 전국대회를 마쳤습니다. 많은 참가자분들의 요청으로 현장에서 진행된 발표자료를 첨부해 드립니다. ○ 첨부한 발표 자료와 사진 등은 모두 저작권법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서 해당 저(작)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저자 안용순 외2019년 미디어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공유합니다. 미디어교육 연구를 위해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 공동체명: 새샘연구회 - 저자: 배명고 안용순 교사 등 - 연구주제: 삶을 가꾸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단계적 교육방안 연구 *유의사항 저작권법 제25조(학교교육 목적 등에의 이용) 등 저작재산권 제한 범위를 넘어선 무단 복제․배포․공중송신 등의 행위, 출처 미표시 등의 행위 시 저작권법에 저촉됩니다
Ⅰ.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왜 필요한가? Ⅱ. 미디어 환경 변화와 좋은 저널리즘 1. 미디어 환경 변화와 뉴스 포맷의 다양화 1) 새로운 플랫폼과 다양한 뉴스 생산자 2) 스낵 컬처 콘텐츠와 뉴스 소비 3) 다양한 포맷의 뉴스 등장 4) 개념의 혼돈 속에 내려 본 뉴스의 정의 5) 뉴스 분석법의 중요성 2. 좋은 저널리즘의 필요성 1) 목숨보다 중요한 뉴스 2) 생명을 앗아갈 수도, 구할 수도 있는 뉴스 3) 일상을 지켜주는 뉴스 4) 민주 사회와 뗄 수 없는 뉴스 3. 좋은 뉴스란 무엇인가? 1) 미국의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의 저널리즘의 기본 요소 2) 미첼 스티븐슨의 지혜의 저널리즘 3) 방송기자연합회의 방송뉴스 바로 하기를 위해 지양해야할 저널리즘의 가지 문제 4)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의 인권 보도 준칙 4. 좋은 뉴스를 찾아내기 위한 뉴스 분석법과 수업 사례 Ⅲ. 뉴스 이해를 위한 뉴스 분석법 1. 뉴스 생산자 1) 핵심 개념: 뉴스는 생산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2) 중요 질문 3) 확인 사항 2. 뉴스 구성요소 1) 핵심 개념: 뉴스는 뉴스만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2) 중요 질문 3) 확인 사항 3. 의미…
Ⅰ. 서론 1. 문제 제기 1) 국내 학교 교육과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책 동향 2) 해외의 미디어 리터러시 및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환경과 동향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1) 연구 추진 체계 2) 연구방법 Ⅲ. 뉴스 교육자 역량 추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1.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 참여자의 구성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항목 3. 결과 분석 1) 뉴스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 및 내용 3) 뉴스 리터러시 교수자 역량 4. 요약 및 시사점 Ⅳ.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미디어교육 교사 및 강사 역량 인터뷰 1. 인터뷰 조사 및 참여자의 구성 2. 개인 면담 또는 FGI 조사 항목 3. 인터뷰 결과 분석 1) 뉴스 리터러시 교육 업무 수행 2) 수업 목표 및 내용 3) 성공/실패 사례 및 요인 4) 우수 교육자 구별 표지 및 행동 개선 방향 4. 요약 및 시사점 Ⅴ.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및 교과목 구성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군 설명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 2. 뉴스 리터러시 교육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과
<2권> 뉴스 리터러시 교육 Ⅱ: 평가 체계 및 내용 개론 05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 체계 … 1 1. 핵심 역량과 성취기준 중심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 … 1 1)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의 필요성 … 1 2) 교육평가란 무엇인가 … 2 3) ‘핵심 역량’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 … 5 4) 역량의 평가: 성취기준과 루브릭(rubric) … 14 2.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준거 … 20 1) 뉴스 리터러시 일반 역량 평가를 위한 지수 … 21 2) 역량 개발 중심의 뉴스 리터러시 평가준거 체계 … 29 3. 뉴스 리터러시 교육평가준거의 적용 … 49 1) 교육평가준거 적용을 위한 시범수업 … 50 2) 평가 결과 … 55 3) 논의 및 소결 … 72 06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내용 개론 … 75 1. 뉴스 이해 … 77 1) 뉴스의 정의 … 77 2) 뉴스의 필요성 … 95 3) 뉴스가치 … 107 4) 뉴스 생산 과정 … 117 5) 뉴스 보도 원칙 … 148 2. 뉴스 생태계와 미디어 이해 … 167 1) 뉴스 생태계 구조 … 167 2) 인터넷과 뉴스 생태계 … 180 3) 뉴스 소비 심리 … 190 4) 뉴스 이용의 개인화 … 200 3
본문 목차 01 서론 1.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 1 2. 교육 대상 범위 … 5 3. 연구서 구성 … 7 02 뉴스 리터러시 개념 검토 1. 뉴스 리터러시와 인접 개념들 … 9 2. 뉴스 리터러시가 포괄하는 핵심 개념 … 21 3. 뉴스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소개 … 31 4. 소결 … 74 03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구성 1.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정 개발 배경 … 79 2. 교육과정 개발 과정 … 85 3. 중·고등학생용 교육과정 시안 … 88 4. 대학 교양 강좌용 강의 계획 시안 … 143 5. 관련 개념·용어 설명 및 참고 자료 소개 … 150 04 뉴스 리터러시 교육 지원 체계 구축 방안 1. 뉴스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지원 체계의 문제점 … 184 2.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방안 … 207 3.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217 4. 요약 및 소결 … 228 참고문헌 … 229 저자 양정애 외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차례 01 연구배경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4 02 미디어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1. 미디어교육의 개념 … 6 2.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 15 03 주요 국가의 미디어교육 현황 및 동향 1. EU … 20 2. 영국 … 25 3. 프랑스 … 32 4. 벨기에 … 39 5. 핀란드 … 42 6. 미국 … 53 04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1. 학교 미디어교육 … 72 2. 사회 미디어교육 … 112 05 결론 및 제언 … 164 참고문헌 … 185 부록 … 191 저자 황치성 박한철 정완규 조진화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요약문 Ⅰ. 서론 15 II. 연구목적 19 III. 연구방법 21 1. 2차 자료분석 22 1) 연구대상 22 2. 관심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23 3. 델파이(delphi) 조사 24 V. 연구내용 28 1. 해외 읽기진흥 정책 현황 28 1) 독서를 통한 읽기진흥 28 2) 미디어 교육을 통한 읽기진흥 29 3) 해외 읽기진흥 정책의 유형화 32 (1) 독서환경 및 인프라 구축 33 (2) 독서 장려를 위한 세제지원 34 (3) 읽기진흥 캠페인 34 4) 소외계층의 독서활동 지원정책 35 (1) 소외계층의 독서활동 지원과 시민단체 35 (2) 소외계층의 읽기진흥과 신문읽기 37 5) 읽기진흥 정책평가 38 6) 국가별 읽기 정책 진행 현황과 평가 39 (1) 미국 39 (2) 일본 47 (3) 영국 59 (4) 프랑스 70 (5) 독일 81 7) 국가별 읽기진흥 정책의 특징 90 2. 관심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93 1) 진행 과정 및 응답자 93 2) 집단별 인터뷰 내용 분석 95 3) 주제별 분석 103 3. 델파이(Delpi) 조사 111 1) 읽기진흥 해외 정책 평가 112 2) 읽기진흥…
요약문 Ⅰ. 서론 19 1. 문제제기 및 연구 필요성 19 2. 연구목적 21 3. 연구방법 22 1) 문헌조사 23 2) 사례조사 23 3) 시범수업 운영 및 참여관찰 24 4) 학생 및 교사 등 미디어교육 주체 대상 의견조사 24 Ⅱ.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변화와 해외 교육 사례 분석 26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26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26 2)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의미 29 2.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32 1)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된 국내 연구 흐름 32 2)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고찰 33 3. 해외 미디어교육 수업 사례 및 현황 37 1) 영국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38 2) 호주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46 3) 미국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및 현황 50 4) 해외 미디어교육 수업사례 분석 및 시사점 53 Ⅲ. <미디어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국내 사례 분석 56 1.
01 연구배경 …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4 02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동향과 사례에 대한 종합 분석 … 6 1. 미디어 지형 변화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 6 2.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책적 지향: 시민성과 경제적 성장 동인 … 12 3.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 역량 … 18 4. 국가 교육과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 28 03 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사례 … 40 1. 영국 … 40 2. 캐나다 … 62 3. 미국 … 82 4. 핀란드 … 99 5. 오스트레일리아 … 114 6. 싱가포르 … 121 7. 홍콩 … 130 04 결론 … 140 1. 연구결과의 함의 … 140 2. 결론 … 148 참고문헌 … 151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기 획: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분석팀 필 자: 김광재 한양사이버대 광고미디어학과 교수 1932년 <뉴욕타임스>가 처음 도입했던 신문활용교육(Newspaper in Education)이 최근 들어 뉴스리터러시 교육으로 새로운 변신을 꾀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확산에 따라 종이신문 중심의 신문활용교육과 기술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이 더 이상 실효성이 없다는 문제의식이 생겨나면서, 세계신문협회를 비롯한 각국의 신문사들은 뉴스리터러시 교육으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19개 국가 및 세계신문협회의 뉴스리터러시 교육 동향 분석을 통해 전통적인 신문활용교육을 고수하고 있는 국내 신문사와 관련 단체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 차> 1. 서문 2. 국가별 뉴스리터러시 동향 1) 오스트리아 2) 벨기에 3) 체코공화국 4) 덴마크 5) 핀란드 6) 프랑스 7) 독일 8) 헝가리 9) 아일랜드 10) 이탈리아 11) 룩셈부르크 12) 네덜란드 13) 노르웨이 14) 폴란드 15) 스페인 16) 스웨덴 17) 영국 18) 일본 19) 미국 20) 세계신문협회 3. 맺는말 [출처] 한국언론진
01 연구배경 … 1 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의 구성 … 5 02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과 21세기 핵심역량 … 7 1.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행태 … 7 2.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 31 3. 미디어 리터러시와 21세기 핵심역량 … 56 03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과 21세기 핵심역량의 관계 … 89 1. 조사방법 … 89 2. 분석결과 … 95 04 결론 및 제언 … 168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함의 … 168 2. 제언 … 179 참고문헌 … 183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FORME
지난 11일, 포곡고 사물놀이 동아리 <시누대>가 '2022년 용인시 청소년어울림마당 청소년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시누대> 지도교사 '구호연' 선생님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Q. 동아리 <시누대>는 언제 개설 되었나요? A. 시누대는 2009년에 전통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조직되었습니다. 올해로 창단 14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Q. 동아리 <시누대>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 A. "활발한 교내활동과 외부활동을 통해, 많은 경험을 쌓고 있습니다. 전통문화 계승을 위해 매주 모여서 사물놀이 가락을 배우고 있습니다. 또 동아리 회원 한명 한명이, 책임감과 자부심을 갖고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며, 모범적이고 즐거운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Q. 동아리 지도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A. ."저희 시누대는 동아리시간 외에도 시간이 될 때마다 모여, 국악을 전공한 전문 강사선생님(국악예술단체 대표)에게 레슨을 받고 있습니다. 청소년동아리 연합회, 4-H에 소속되어 있으며, 지원금은 강사비와 악기구입비, 간식비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매번 연습 때마다, 맛있는 간식이 빠지지 않습니다. 맛있는 간식은 때로 엄청난
Namchang High School has about 900 students, more than a lot of other schools. You can guess the number from watching the students go home; it's as if you are looking at a flock of ants. The alleys and traffic surrounding the school are paralyzed by students at home time. ▼▼울산 중등 학생 영자신문 기자단 인터넷신문 바로가기 ▼▼
지난 15일, 포곡고등학교 복싱부 '황성범' 코치님과 선수 '이천성(2학년)과 이정우(2학년), 이하진(1학년), 김유열(1학년)을 인터뷰했다. ▲ 아침 훈련을 하는 선수들 ▲ 화성시장배 복싱대회에 참가해 경기하는 선수 (선수들 인터뷰) Q. 복싱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A. 1학년 이하진 : 시작은 동네 체육관 관장님의 권유였어요. 워낙 운동을 좋아하고 제 몸을 지키는 운동의 필요성을 느껴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Q. 복싱을 꾸준히 운동하며 힘들었던 점과 보람되었던 점이 있었다면 무엇인가요? A. 1학년 김유열 : 아무래도 격한 운동이다 보니, 꾸준히 해와도 체력적으로 많이 지칠 수 밖에 없더라고요. 하지만, 이 또한 매일 열심히 하다보니 실력이 늘어난다는 게 눈에 보이는데, 그래서 보람되고 더 열심히 할 수 있었습니다. 경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때, 뿌듯함을 느낍니다. Q. 시합 기간 때. 하루 일과는 어떻게 짜여지나요? A. 2학년 이정우 : 먼저, 평일에는 아침 운동과 방과후 운동 일정이 있고, 다음 날 아침 운동 체력을 위해 바로 귀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Q. 복싱에 임하는 마음가짐은 무엇인가요? A. 2학년 이천성 : 자칫 잘못하면 부
지난 8일(수) 5~6교시, 포곡고등학교에서는 포곡초, 포곡중, 포곡고 학생임원들의 연계자치활동이 진행되었다. 이번 활동은 포곡초, 포곡중, 포곡고의 학생회 임원들이 모여, 서로의 공약과 학생회 활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 개선해야 할 점들을 공유하고, 서로에게 피드백과 따뜻한 격려로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었다. ▲ 회의를 하고 있는 모습 모든 활동이 끝나고, 포곡초 학생들과 선생님에게 이번 활동에 대한 소감을 물어보았다. Q. 간단하게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저는 포곡초등학교 전교 회장 박서연입니다." A. "저는 포곡초 5학년 전교 부회장 권우성 입니다." A. "저는 포곡초 6학년 전교 부회장 ooo입니다." Q. 오늘 포포포 초중고 연계 학생 자치 활동을 진행하면서 느낀점은 무엇인가요? A. "평소 어려웠던 점에 대해서 설명해 주셔서 좋았습니다." A. "처음엔 어색했지만, 포곡고, 포곡중 선배님들이 편하게 해주셔서 점점 긴장이 풀렸고, 임원분들이 발표하는 걸 보고 말하는 실력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 "언니 오빠들이 회의 진행하는데, 떨지않고 잘하셔서 놀랐습니다." Q. 오늘 포포포 초중고 연계 학생 자치 활동을 하면서 배운